이 책은 2021년 11월에 발간된 저자의 자산배분에 관한 책이다. 저자는 유튜브에서 옛날부터 영구 포트폴리오와 4계절 포트폴리오가 주식 투자자 99%에 최선이라고 하였다. 매월 동적자산배분에 대한 영상을 올리고 있었으며, 그 부분을 정리한 책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강환국 작가의 책에 처음부분에 항상 나오는 부분들이 나온다. 왜 투자를 해야하는가? 낙원계산기, 투자 심리에 관한 것이다. 이전 책들을 통해/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항상 마음을 다시 다지는 느낌으로 정독을 하곤 한다. 이 책에서는 20% 이하의 최대 낙폭과 높은 한 자릿수 이상의 연복리수욱률을 달성할 수 있는 투자전략을 제시한다.
정적자산배분에 대한 챕터이다. 유대인 전략, 60(주식)/40(채권) 포트폴리오, 영구 포트폴리오, 사계절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영구 포트폴리오가 마음에 들었다. 최대 낙폭 20%이하이면서 높은 한 자릿수 연복리 수익률을 보여주는 전략 중 가장 간단하였기 때문이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미국 주식, 미국 장기국채, 금, 미국 초단기채권에 각 25%씩 투자하여 1년에 한 번씩 비중을 맞춘다. 이렇게만 하면 최근 50년간 연복리 8.8%, 최대 낙폭 -12.7%로 원금이 76배가 된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2000만원을 증여해주고 영구 포트폴리오로 운영을 하면 이 아이가 50살이 되었을 때 15.2억이 된다. 이런 류의 말을 하면 혹자들은 물가상승률이니,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니 따위의 말을 한다. 50년 전의 2000만원이 얼마나 큰 돈인 줄 아냐며 따지고 든다. 그래 50년전의 2000만원은 엄청 큰 돈일 것이다. 그렇다고 현재 2000만원이 껌값은 아니지 않은가? 50년 뒤의 15억도 껌값은 아닐 것이다.
사계절 포트폴리오는 미국 주식 30%, 미국 중기국채 15%, 미국 장기국채 40%, 금/원자재 각각 7.5%씩 투자한다. 이렇게 50년 투자하면 연복리 9.6%, 최대낙폭 -13.1%로 원금이 114배가 된다. 영구포트폴리오보다 연복리 0.8%가 높지만 최종 금액의 차이는 엄청나다.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드는 것이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현금에 25%가 들어가 있어 사계절 포트폴리오보다 연복리 수익률이 조금 낮다. 수익률이 좋지만 영구 포트폴리오보다는 조금 계산을 해야한다. 그래봤자 1년에 한 번 하지만...
마지막으로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겠다. 미국 주식 12%, 미국 외 선진국 주식 12%, 신흥국 주식 12%, 원자재 7%, 금 7%, 미국 제로쿠폰 장기국채 18%, 물가연동채 18%, 미국 회사채 7%, 신흥국 채권 7%이다. 그냥 영구 포트폴리오나 사계절 포트폴리오 하자.
마켓타이밍을 가미한 동적자산배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GTAA, 듀얼 모멘텀, PAA, VAA, DAA, LAA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들 동적자산배분은 매월 리밸런싱을 하게 되는데 사실 오리지날 듀얼 모멘텀, LAA전략을 제외하고는 나는 매월 리밸런싱을 위한 계산을 할 자신이 없었다. 책에서도 전략을 어느정도 설명한 다음에 "여러분들의 머리가 활활 타고 있을 거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계산하기 어려운 동적자산배분 전략을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강환국 작가의 유튜브를 시청하면 각 전략의 매수매도해야할 자산군과 비율을 알려주고 있으니 따라하기만 하면 된다. 본인 죽을 때까지 올린다고 했으니 앞으로 수십년은 믿고 따를 수 있다.
오리지날 듀얼 모멘텀은 미국 주식, 선진국 주식, 초단기채권의 최근 12개월 수익률을 계산하여 미국 주식이 초단기채권보다 높으면, 미국 주식과 선진국 주식 중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더 높은 곳에 투자한다. 미국 주식의 수익률이 초단기채권보다 낮으면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이 과정 매월 반복한다. 최근 50년동안 연복리 15.1%, 최대 낙폭 -19.6%로 원금이 1,442배가 되는 아주 준수한 전략이다. 나도 실제 연금계좌에서 이 전략을 시행했었다. 코로나 이후 엄청난 수익률을 보였지만 올해 초부터 망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에 나오는 한국형 올웨더로 바꿔서 투자하고 있다.
LAA전략은 영구 포트폴리오의 현금 자산 25%를 활용하는 전략이다. LAA는 미국 대형가치주, 금, 미국 중기국채에 각 25% 씩 1년 고정으로 투자하고, 나머지 25%를 매달 나스닥과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를 하는데, 미국 S&P500지수가 200일 이동평균보다 낮고 미국 실업률이 12개월 이동평군보다 높은 경우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나스닥에 투자한다. 이렇게 50년동안 연복리 10.9%, 최대낙폭 -15.2%로 원금이 208배가 된다. 나는 다른 연금계좌에서 이 전략을 약간 변형시켜 투자하였다. 미국 대형가치주는 우리나라에 대응하는 ETF가 없어 그냥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선택하였고, 매월 리밸런싱하는 25%의 투자금을 미국, 한국, 중국, 독일, 미국 장기채, 미국 중기채, 미국 단기채 중 12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ETF에 투자하였다. 이 전략의 성과는 알다시피 올해는 다 망했다. 망하다 보니 매월 계좌를 쳐다보기가 싫어져서 역시 한국형 올웨더로 전환하였다.
이 장에 끝부분에서는 각 전략의 장점에 시너지를 주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3가지정도의 전략을 동시에 사용하기를 추천하고있다. 강환국 작가도 VAA 공격형, LAA, 오리지널 듀얼 모멘텀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도 저렇게 해볼까 했지만 상당히 귀찮은 작업이라 그냥 한국형 올웨더로 통일해버렸다. 나같은 직장인은 매월 말에 저거 계산하고 있는 것도 스트레스다.
이 장에서는 십일사천국, 오십지옥과 투자자를 위한 조언을 해주고 있다. 계절성을 통해 십일사에는 주식비중을 높이고, 오십에는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는 것은 앞서 포스팅한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에서 비중조절로 설명을 하였다. 투자자를 위한 조언은 나같은 게으른 직장인을 위한 전략 조합과 투자 고수를 위한 전략 조합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역시 난 그냥 하기 쉬운 전략을 택하는 것이 좋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자유에 도달할 수 있다. 빠르게는 아니어도 느리지는 않게 말이다.
이 책은 미국 주식으로 투자하는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미국 주식과 우리나라 주식과의 세금차이 등으로 사실 리밸런싱을 자주하는 전략들은 연복리가 계산만큼 높지 않을 것이다. 올웨더나 60/40 전략을 쓰실 분들은 그냥 미국 주식 중 올웨더, 60/40전략을 추종하는 ETF를 사모으는 것이 더 유리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최소한 리밸런싱 한다고 생기는 수익금에 대한 세금은 내지 않을테니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전략들을 쓸려면은 사실 똑같이 수행가능한 전략은 거의 없다. 약간 수정해서 한다면, 오리지날 듀얼모멘텀은 S&P500 추종 ETF와 KODEX 선진국MSCI World ETF, 미국채 10년으로 변경하는 것이 유사할 듯 하다. LAA는 미국대형가치주를 S&P500 추종 ETF로 변경하는 것이 비슷할 듯 하다. 오로지 나의 뇌피셜임으로 너무 믿진 말아주길 바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국내상장 해외ETF는 수익금의 15%를 세금으로 떼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들은 세금우대가 있는 IRP, ISA, 개인연금계좌에서 하기를 추천한다.
긴 글을 읽어주신 당신의 계좌에 그리스도의 은총과 부처님의 자비가 깃들길 기원한다.
2022.10.09 - [경제적 자유] - [독서 후기]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강환국
[독서 후기]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강환국
2022년 10월 강환국 작가의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가 출간되었다.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원래 내가 강환국 작가의 팬이기도 하며, 이전 발간된 책들도 모두 읽어보았기 때문이다. 퀀트 투
damiaplutus.tistory.com
[투자 전략] 강환국 울트라 전략 - 퀀터스 vs 퀀트킹 (4) | 2022.10.15 |
---|---|
[독서 후기] 할수 있다! 퀀트 투자 - 강환국 (0) | 2022.10.13 |
[투자 전략] 강환국 슈퍼가치 전략 - 퀀터스 vs 퀀트킹 (0) | 2022.10.11 |
[독서 후기] 하면 된다! 퀀트 투자 - 강환국 (0) | 2022.10.10 |
[독서 후기]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강환국 (1) | 2022.10.09 |
댓글 영역